전기차 구매를 위한 보조금은 무공해차를 구입하는 소비자에게 중요한 지원 제도입니다. 본 글에서는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절차와 각 지자체별 보조금 지원 문의처를 안내드립니다.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절차
보조금 신청 과정
전기차를 구매할 때, 보조금을 신청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차량 구매 시 대금에서 보조금을 차감한 금액만 판매처에 지급하면 됩니다. 이후 판매처는 지자체에 보조금 신청을 하여 지원금을 수령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계약 전에 판매처 담당자와 보조금 신청 절차를 협의하고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보조금 확인 방법
각 지자체별로 지원금 차이가 있으므로, 공시된 지원 금액 외에 추가 지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해당 지자체의 관련 부서에 문의하여 지원금 확인과 소진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마스다밴의 경우 기본 국고 보조금은 1,400만원이지만, 일부 지자체에서는 최대 2,300만원까지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추가 지원 사항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은 증빙 제출 시 최대 140만원까지 추가 지원이 가능합니다. 개인사업자는 차량 가액 전체에 대해 부가세 환급이 가능하니 이 점도 유의해야 합니다.
신청 절차 상세
차량 구매 전 확인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을 방문하여 차종 및 보조금 금액을 확인합니다.
- 지역별 문의처를 통해 지자체 담당자에게 지원 여부를 확인합니다.
- 구매할 차량의 제조사나 딜러에게 문의하여 거주 지역의 지원금 여유를 확인합니다.
구매 계약 진행
판매처와 구매 계약을 체결한 후, 나머지 과정은 판매처가 지자체와 협의하여 보조금을 지급받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소비자는 차량 출고와 등록만 신경 쓰면 됩니다. 특히, 개인이 직접 확인하기보다는 차량 딜러를 통해 명확한 정보를 받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구매보조금 관련 지역별 문의처
아래는 각 시도별 전기차 보조금 관련 부서 및 연락처입니다.
| 시/도 | 지역 | 관련 부서 | 연락처 |
|---|---|---|---|
| 서울 | 서울특별시 | 친환경차량과 | 02-2133-1269 |
| 부산 | 부산광역시 | 기후대기과 | 051-888-3556 |
| 대구 | 대구광역시 | 미래형자동차과 | 053-803-6371 |
| 인천 | 인천광역시 | 에너지정책과 | 032-440-4358 |
| 광주 | 광주광역시 | 대기보전과 | 062-613-4341 |
| 대전 | 대전광역시 | 미세먼지대응과 | 042-270-3183 |
| 울산 | 울산광역시 | 환경보전과 | 052-229-7592 |
| 경기도 | 수원시 | 기후에너지과 | 1899-3300 |
| … | … | … | … |
| 제주 | 제주특별자치도 | 저탄소정책과 | 064-710-2616 |
각 지역별로 해당 부서에 문의하시면 보다 구체적인 정보와 지원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전기차 보조금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구매 계약서, 신분증, 사업자 등록증(개인사업자의 경우) 등 다양한 서류가 필요하니, 판매처에 문의하여 확인하세요.
질문2: 보조금 지원은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보조금 지원은 매년 예산에 따라 달라지므로, 지자체의 공고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질문3: 전기차 보조금을 받으려면 어떤 차량이 대상인가요?
국가에서 정한 무공해차 기준을 충족하는 차량이 보조금 지원 대상입니다.
질문4: 개인사업자도 보조금을 받을 수 있나요?
네, 개인사업자도 전기차 구매 시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부가세 환급 혜택도 있습니다.
질문5: 지자체별 보조금 차이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각 지자체별 보조금 금액을 확인하거나 해당 부서에 직접 문의하세요.
이전 글: 환경부 전기차 충전카드 발급 가이드